저는 이미 집에 보조배터리가 3개나 있지만... 또 보조배터리가 사고 싶어 졌습니다.
아이폰 12부터 맥세이프라는 게 나왔기 때문이죠
원래 사려고 했던것은 이것이었습니다.
보조배터리와 따로 판매하는 크래들을 같이 구매하면 무선 충전기처럼 사용할 수 있고
(크래들까지 같이 구입하면 10만원 정도입니다.)
보조배터리와 함께 뽑아들고 나가면 맥세이프 보조배터리로 사용할 수 있는 컨셉의 제품이었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금새 새롭고 더 발전된 형태의 제품이 더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됐습니다.
크래들과 함께 충전기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보조배터리로 사용할 수도 있으면서 + 애플워치까지 충전이 됩니다.
안 그래도 여행용 애플워치 충전기를 하나 구매하려고 했었는데... 가격도 32,000원으로 저렴한 편입니다.
웬만한 여행용 애플워치 충전기 하나 가격입니다. (웬만하다의 기준은 사람마다 꽤 많이 다릅니다.)
제품과 함께 동봉되는 사용설명서는 이렇게 찍어서 블로그에 올려놓고 다 버립니다.
이건... 블로그에 올릴 필요도 없어 보이네요 ㅎㅎ
맥세이프 충전패드 반대쪽에는 유선 케이블도 일체형의 형태로 붙어있는데
C타입으로 다른 안드로이드 기기나 블루투스 이어폰들을 충전시킬 수 있습니다.
디자인은 깔끔한 편입니다.
디자인이랄께 있나?? 싶을 정도의 디자인입니다.
상품 판매사이트에서는 내장된 C타입 케이블로 충전 시 고속충전이 가능하다고 나와있는데
유선으로 충전해도 10W의 충전 속도입니다.
배터리 충전도 10W로 그렇게 빠른편은 아니라 거치용에 초점을 맞춰야 될 것 같습니다.
맥세이프 충전은 5W/ 15W
맥세이프를 지원하는 에어팟 충전은 3W
애플워치 충전은 2.5W입니다.
C to C 케이블은 들어있지만 어뎁터는 없습니다.
오래된 보조 배터리는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재활용이 되려나..
아이폰 사용 초기에는 보조배터리 사용이 필수처럼 여겨졌었는데 요즘에는 여행용이 아니라면
아이폰 때문에 보조배터리를 쓰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해외여행을 안간지 오래돼서 무심결에 캐리어에 보조배터리를 저만큼 넣고 탑승하면... 민폐 승객이 될 것 같네요
이건 아마도 아이폰4? 5? 사면서 사은품 같은 걸로 받았던 것 같은데
용량이 5200mAh입니다. 놀랍게도 이번에 구매한 보조배터리도 5200mAh입니다.
아마도 다음 보조 배터리는 배터리 용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나서 부피가 확 줄어든 형태가 되지 않을까?
아니면 기술이 그렇게 까지 발전이 되면... 보조배터리 자체가 필요 없어지려나...
두번째로 사용했었던 보조 배터리입니다.
10,000mAh로 두개의 기기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는 보조배터리였지만...
거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냥 습관적으로 구매했던것 같습니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보조배터리입니다.
플러그 내장형이라 여행지에서 충전기로도 사용하고 무선충전을 지원합니다.
PD 충전까지 가능해서 노트북까지 충전 가능합니다.
다만 아이폰 미니같은 경우에는 무선 충전위치를 찾는 게 조금 어려웠고
따로 자석같은건 없어서 테이블위에 잘 고정해두고 사용해야 합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크래들의 연결부분은 C타입입니다.
다만 이 크래들은 보조배터리 충전용 이외에는 아무런 용도가 없습니다.
상품명이 맥세이프가 아닌 마그네틱인 이유는 아마도 상표권 때문이겠죠
아이폰에 연결되면 보조배터리의 남은 용량까지 표시가 되는데 MFI 인증을 받은 제품은 아니라서
언젠가 아이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때 이 기능은 지원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맥세이프 충전도 Qi 규격의 무선충전 방식이기 때문에 나중에라도 충전이 안되거나 하는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처음에 아이폰을 연결하면 애플의 정품 맥세이프 보조배터리 모양의 아이콘이 뜹니다.
제가 구매했지만... 부적절해 보입니다.
애플워치 충전 부분도 약간의 자성이 있기 때문에 애플워치를 부착해서 충전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애플워치7부터 지원되는 고속충전은 지원되지 않고 자성이 그렇게 강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좀 무거운 스트랩에 케이스까지 부착한 채로 잘 붙어있습니다.
단 점
아쉽게도 핸드폰을 보조배터리에 부착해도 자동으로 충전이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보조배터리가 작은형태인 경우에는 계속 핸드폰에 부착해서 들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만 On 스위치를 눌러
충전을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면 그점이 오히려 더 좋을 듯한데 이 정도 크기의 보조배터리는
충전을 안할때 핸드폰에 부착할 일이 거의 없어서 보조배터리가 맥세이프 단자에 연결이 되면
자동으로 충전이 시작되면 더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건 좀 치명적인 단점인데 가끔씩 크래들 형태로 사용할 때도 자동으로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충전이 가능할때 크래들 밑부분에 녹색불이 들어오는데 보조배터리를 몇 번 들었다 놨다 하면
이 녹색불이 꺼지고 보조 배터리도 장시간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는데
이때 보조배터리를 크래들에 올려놓고 핸드폰을 부착시키면 충전이 되지 않습니다.
접촉 불량인가? 해서 여러번 들었다 놨다 해도 충전이 안되고 크래들에 충전선을 뽑았다가 다시 꼽으면
다시 녹색불이 들어오면서 충전이 다시 시작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서 평소에 사용하는 고속충전기 말고 서랍에 잠자고 있던
10W 충전기를 꺼내서 연결해보니 정상적으로 작동했습니다.
아무래도 너무 고전력이 들어와서 충전 크래들이 당황했던 것 같습니다.
이렇게 충전W를 따져가면서 작동을 할 것 같으면 전용 어뎁터를 챙겨주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어차피 아이폰미니는 맥세이프로도 15w 충전을 지원하지 않으니 그냥 밤새 5W로 천천히 충전시키거나
급할 때는 유선으로 충전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아이폰 미니로는 맥세이프로 최대 12W까지 충전시킬 수 있습니다. 별도로 12w 충전을 지원하는 충전기는
맥세이프 정품 충전기 외에 거의 없습니다.)
배터리 자체에 두께도 좀 있는편입니다.
그리고 맥세이프 접합부는 아이폰과 딱 붙어있는데 하단 부분은 살짝 간격이 있습니다.
그래서 아랫부분을 강하게 누르면 자석이 떨어집니다.
그래도 자성이 강해서 실수로 떨어질 일은 없을 것 같고 오히려 이 방법을 배터리를 분리할 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 하단에는 배터리의 총량이 표시됩니다.
이것보다는 아이폰에 연결했을때 숫자로 표시되는 방식이 더 정확하고 보기 쉬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늘 크래들에 두고 사용하기 때문에 보조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일은 크게 없을 것 같습니다.
결론
1박 2일정도의 여행 아니면 하루 종일 돌아다닐 일이 있을 때 사용하면 딱 좋을 배터리인 것 같습니다.
장거리 여행때에는 충전시킬 일이 많으니 고속 충전이 되는 애플워치 전용 충전기나 충전포트가 더 많은
다른 보조 배터리를 가지고 갈 것 같습니다.
'구매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퀴벌레 퇴치를 위해서 내가한것과 그 효과들 (초음파 해충 퇴치기, 숨고 서비스) (0) | 2022.12.15 |
---|---|
에어팟프로2 대신 드비알레를 선택한 이유 (1) | 2022.10.11 |
코끼리 물걸래 청소기 ; 회전식과 왕복식 비교 (0) | 2022.08.23 |
샤오미 빔프로젝터 Wanbo T6 Max ; 이 정도면 가성비?? (0) | 2022.08.21 |
애플워치 SE2세대, 아이패드 10세대 ; 애플의 달라진 가성비 (0) | 2022.08.09 |
댓글